IT(6)
-
[query-SQLServer]
select text, * from sys.dm_exec_requests cross apply sys.dm_exec_sql_text(sql_handle) select * from sys.dm_exec_sessions where program_name like 'data_engine%' order by total_elapsed_time exec sp_who
2019.03.13 -
hostname 변경
레드햇 계열에서 가능합니다.(RETHAT EL, CentOS, etc) 1. 명령어를 통한 변경 hostname New_hostname hostname, uname -a 명령어를 통하여 변경된 hostname 확인 2. 파일내용 수정 vi /etc/sysconfig/network HOSTNAME=New_hostname 3. 서버 리부팅 reboot 방화벽 중지 service iptables stop - 서버가 시작 될때 iptables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도록 중지 chkconfig iptables off SELINUX - sesttus : 상태점검- /etc/selinux/config
2015.09.02 -
특정 port를 사용하는 Process 확인하기
[root@dcim works]# fuser -n tcp 5432 5432/tcp: 5906 [root@dcim works]# ps -ef|grep 5906 postgres 5906 1 0 Aug20 ? 00:00:39 /usr/local/pgsql/bin/postgres -D /usr/local/pgsql/data postgres 5908 5906 0 Aug20 ? 00:00:00 postgres: logger process postgres 5910 5906 0 Aug20 ? 00:00:19 postgres: writer process postgres 5911 5906 0 Aug20 ? 00:00:09 postgres: wal writer process postgres 5912 5906 0 Aug20 ..
2015.09.02 -
vmstat
[Linux] vmstatvmstat 명령어 시스템의 리소스 상황(CPU, I/O, 메모리)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사용법은vmstat 를 치면 아래와 같이 나오고procs -----------memory---------- ---swap-- -----io---- --system-- -----cpu-----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st 2 0 0 160436 15840 48616 0 0 0 3 19 9 22 50 28 0 0 5초간 3번 Data를 수집 하고자 할때는vmstat 5 3 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.procs -----------memory---------- ---swap-- -----io---- --system-..
2015.09.02 -
YUM 설정 - 로컬ISO이미지 활용
0. 로컬파일시스템에 iso 이미지가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yum 구성 1) iso 이미지 iso 파일 위치 : /YUM/rhel6.4.iso 3) iso 이미지 자동 mount mkdir /mnt/isomkdir /root/works [root@linuxagent01 YUM]# cd /mnt [root@linuxagent01 mnt]# ls hgfs iso [root@linuxagent01 mnt]# cd [root@linuxagent01 ~]# pwd /root [root@linuxagent01 ~]# cd works vi mount_iso.sh아래의 정보를 입력한다.mount -o loop -t iso9660 -r /YUM/rhel6.4.iso /mnt/iso chmod 755 mount_iso.sh..
2015.09.02 -
syslog
[리눅스 시스템 로그들]/var/log/boot.log : 리눅스가 부팅될때 나타나는 메세지 기록/var/log /cron : 시스템 cron에 대한 로그/var/log/message : 커널에서 보내주는 실시간 로그 (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므로, 가장 많이 보는 로그주의 하나임)var/log/secure : 시스쳄 접속에 관한 로그파일 ( 언제, 누가, 어디에서 저븍ㄴ했는지에 대한 로그가 남아있음) /var/log/maillog : sendmail을 통한 메일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/var/log/wtmp : 사용자의 로그인/로그아웃/shutdown/booting 기록이 data 파일로 저장/var/log/btmp : 로그인이 5회 이상 실패한 로그가 남음 [root@linuxagent01..
2015.09.02